마이크로 입력하는 소리와 PC에서 나오는 소리를 기록하고 보관하고 싶을 땐 관련 기능이 있는 도구를 활용해야 하는데 키보드에서 [시작 버튼 + R]을 누르고 [soundrecorder.exe]를 입력해서 이미 준비되어 있는 도구를 활용할 수도 있겠지만 조금 더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며 편하게 작업을 하고 싶을 땐 아무래도 윈도우 녹음기를 쓰는 것보단 전용 도구를 별도로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도구의 종류와 구하는 방법은 알아두어야 하는데 자세한 내용을 아래 적었으니 필요할 때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권장하고 싶은 도구는 [곰]입니다. 사용하는 것에 제한이 없으며 인터페이스가 깔끔하고 간단한 편집 기능도 지원을 하고 있죠. 혹시 해당 툴의 사용에 관심이 있다면 공식 홈페이지인 [gom2.gomtv.com/release/gom_recorder.htm]를 찾아가서 노란색의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그럼 별도로 모듈을 준비하지 않아도 설치 파일이 바로 받아지게 될 것입니다.
파일을 받았다면 실행하고 설치를 해줄 순서인데 제휴 서비스가 없기 때문에 [다음]을 누르면서 과정을 넘기면 윈도우 녹음기를 대신하게 될 곰의 사용 준비가 완료될 것입니다. 그리고 차선책인 곰 녹음기를 켠 다음에는 본격적으로 오디오 기록을 할 순서인데 앞서 소개를 했듯이 인터페이스가 간단해서 제가 딱히 설명하지 않아도 기능들을 다룰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도 혹시 윈도우 녹음기를 대신할 때 필요한 사용법을 정확하게 파악해보고 싶다면 다운로드를 할 수 있었던 공식 페이지에서 좌측에 있는 [FAQ]라는 카테고리를 살펴볼 것을 권장합니다. 편집이나 오디오 기록 기능을 쓰는 방법들이 정리된 게시판이 뜨는데 하나씩 클릭하고 내용들을 확인하시면 충분히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담으로 PC에서 자체적으로 나는 소리를 기록할 땐 스테레오 믹스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해야 합니다. 각설하고 윈도우 녹음기 이상으로 많은 기능을 지원하는 도구가 필요할 때 선택하기 좋은 종류를 소개해봤는데 대단한 내용들은 아니지만 그래도 작업에 보탬이 될 수 있었길 바라며 저는 여기서 물러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