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에서 시작프로그램의 설정과 추가로 등록하고 관리하는 절차 안내
컴퓨터를 사용할 때마다 항상 활용하는 도구가 있다면, 부팅과 함께 자동으로 실행이 되도록 세팅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따로 툴을 실행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사라지게 되죠. 다만 세팅 방법을 알아야 하는데 윈도우 시작프로그램 설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물론 윈도우 시작프로그램 추가를 하거나 시작프로그램 관리를 해주는 과정이 아무리 간단하다고 해도 정확한 내용을 알아두는 것이 좋겠죠. 그래서 이번에 작업 과정을 담은 내용들을 엮어봤습니다. 복잡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읽어보시면 무난하게 적용을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우선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등록된 항목을 없애주는 과정부터 얘기하겠습니다. 키보드에서 [시작 버튼 + R]을 누르고 실행 화면에 [msconfig]를 적어주면 됩니다.
명령어가 정확하다면 시스템 구성 화면이 열릴 것입니다. 그럼 상단의 시작 프로그램을 누르고 작업 관리자 열기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등록된 도구에서 없애고 싶은 것을 선택한 뒤, 사용 안 함을 클릭해주면 됩니다.
이어서 윈도우 시작프로그램 등록을 해주는 과정도 알아보겠습니다. 7 이상의 운영체제에서는 방법이 동일하기 때문에 더는 10을 기준으로 얘기하겠습니다. 이번에는 실행 화면을 띄우고 [shell:startup]를 입력하면 됩니다.
명령어를 입력해서 탐색기 화면이 열리면, 자동으로 실행하고 싶은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넣어주면 됩니다. 저는 임의로 칼무리 아이콘을 넣어봤는데, 이렇게 추가를 해주면 부팅과 함께 시작이 될 것입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앞에서 언급했던 경로에 아이콘을 추가했는데, 자동 실행 항목에서 제외를 하고 싶다면 그냥 아이콘만 빼주면 됩니다. 서두에서 얘기를 했지만 엄청 쉽죠?
여담으로 자동 실행 서비스와 같은 세부적인 항목들을 관리하고 싶을 땐 최적화 도구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예컨대 [Wise Care 365]를 쓰면 권장 항목을 빠르게 구분할 수 있으니, 아무래도 관리가 수월해질 수 있죠.
각설하고 윈도우 시작프로그램 설정을 해주는 것과 관련된 내용들을 엮어봤는데, 간단한 팁에 불과한 수준의 글이었지만 그래도 들러주신 분들께서 원하는 작업을 진행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수준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저는 이쯤에서 물러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