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의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따로 동의하는 과정이 없어도 항상 최신 버전의 파일을 받고 적용을 하게 되는데 보안 유지에는 분명 좋은 부분이라 할 수 있지만 간혹 최신 버전이 오히려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자동업데이트 해제를 위한 방법을 찾는 분들이 많은 것일 텐데 이번에 윈도우10에서 기능의 해제를 진행하기 위한 절차를 엮었으니 혹시 해당 작업이 필요했다면 아래 정리해둔 글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일단 작업표시줄에 있는 검색 기능 메뉴에 '서비스'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상단의 결과물에서 데스크톱 앱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복잡한 항목들이 나열된 어떤 화면이 나타나는데 기능 해제를 위해선 'Windows Update'를 찾아야 합니다. 혹시 지금까지의 윈도우10 자동업데이트 해제 방법이 어렵다면 하단의 이미지를 살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좌우간 해제를 위해서 진입해야 할 항목을 확인했다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항목을 클릭하고 속성을 선택합니다. 이어서 시작 유형을 사용 안 함 혹은 수동으로 변경을 해주면 윈도우10의 기능이 해제가 되며 더 이상 사용자의 동의가 없는 상태로 윈도우10이 최신 버전을 받고 적용하는 상황은 없을 것입니다.
여담으로 앞선 절차를 사용해서 윈도우10에 적용을 하면 당장에 자동업데이트가 되는 것은 막을 수는 있겠지만 보안에 구멍이 생길 수 있고 다른 오류도 생길 수 있으니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굳이 해제하지 않을 것을 권장합니다. 애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해제하기 위한 기능을 외부로 꺼내지 않은 것에는 다 이유가 있겠죠?
각설하고 윈도우10을 쓰고 있는 분들께서 귀찮게 느껴질 수 있는 자동업데이트를 없애기 위한 절차에 대해 얘기를 해봤는데대단한 내용은 아니지만 그래도 해제와 관련된 방법을 찾던 분들께 보탬이 되었으면 좋겠으며 저는 여기서 물러나도록 하겠습니다.